출처 : Hobby lounge
윈도우 XP에서 비스타 사이드바 가젯을 완벽하게 사용하는 법
1. NetFrame3 설치(다운) 일단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NetFrame3를 설치 합니다. 다운 받으신 파일을 더블클릭해서 실행 하면, 인터넷에 접속해서 파일들을 다운 받은 뒤 알아서 설치 합니다. 다운 받는 파일의 용량이 63MB정도 되니, 시간이 약간 소요 됩니다.
2. AlkyXP 설치(다운) 다운받으신 파일을 압축 풀면 실행파일이 하나 있습니다. 그걸 더블클릭하면 마찬가지로, 프로그램이 설치되게 됩니다. 중간에 Vista 시디키 넣는 과정이 나오는데, 무시하고 넘어가시면 됩니다.
3. Hotfix 설치(한글:다운, 영문:다운) 만약 설치하시는 윈도우 XP가 한글이거나 영문이면, 그에 따라 파일을 다운 받고 압축을 풀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압축을 풀게 되면 하나의 실행 파일이 나오고,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알아서 핫픽스를 설치 합니다. 순서대로 아래그림을 보면서 하면 됩니다.^^
4. Sidebar Installer 설치(한글:다운, 영문:다운) 5개의 과정중에 여기가 그나마, 제일 복잡하네요 ㅎㅎ 마찬가지로 한글, 영문판에 따라 다운받아 압축을 풀면 하나의 폴더가 나오고, 여러개의 파일이 보일 겁니다. 그 파일중에 아래의 그림처럼 폰트파일만 복사해서, C:WindowsFonts 폴더에 붙여 넣기 하시면, 필요한 글꼴이 자동으로 설치 됩니다.
그리고 폴더내부에 있는 파일 중에 Sidebar.inf파일을 오른쪽으로 클릭해서, 설치를 누르면 됩니다.
설치를 시작하면, 알아서 파일들을 카피하면서 설치가 진행 됩니다. 약 3~4분 정도 걸리니까, 살짝 기다리세요~^^
설치가 끝나면, 알아서 컴퓨터가 재부팅 됩니다. 재부팅 후에 시계 옆을 보면, 익숙한 사이드바 아이콘이 보이네요~^_^
5. Gadget Installer 설치( 다운) 마지막 가젯인스톨러 설치 입니다. 다운 받은 파일을 압축 풀면 두개의 파일이 나오는데, 둘 중 아무거나 해주면 됩니다. 더블클릭하고~고고 만약 이미설치되어 있다고 나오면, 그냥 OK~해주면 됩니다.
이제 모든 설치가 끝났습니다. 제 블로그의 글들 중에 암거나 다운 받아서 설치해 보죠. 다운 받고, 다운 받은 가젯파일을 그냥 더블클릭해버리니까, 아래와 같이 바로 사이드바에 추가 할꺼냐고 메세지가 뜨네요~ㅎㅎ "Install"을 누르면 가젯이 자동으로 설치가 됩니다. 예전 XP사이드바 가젯보다 편하죠?
설치된 가젯과 사이드바의 모양 입니다. 좋군요~ㅎㅎ 기본적으로 몇가지의 가젯이 들어있으니, 사용해 보세요~^^
---------------------------------------------------------------------------------------------------------
현재 제가 사용하고 있는 사이드 바 입니다
간단한 설명과 다운로드 입니다
1. 맨위 가젯은 Vista LH Clocks 입니다
2. 두번째는 EVEREST에서 지원하는 사이드 바입니다
연동법입니다
아이템은 가젯에 표시 하실것만 체크하시면 됩니다
Degree symbol을 ˚ 으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Add gadget들어가 보시면 EVEREST 추가 되어있는걸 보실수 있습니다
설정을 마친 상태입니다
윈도우 시작시에 정보를 불러 오기때문에 조금 느려집니다 참고하세요
3. 세번째는 HDD Monitor 입니다
HDD Monitor( 다운) 가젯은 매우 간단 합니다. 일단 설치를 하게 되면, 연결된 하드디스크와 이동식 저장 장치가 모두 표시 됩니다.
외장하드 여러개 쓰시는 분들은 꽤 유용하실 겁니다. HDD Monitor 상에서 해당드라이버를 클릭 하시면
바로 폴더가 뜨게끔 되있습니다
그리고 언독(Undocked)상태로 만들면, 가젯의 크기를 좀 크게 볼 수 있습니다.
4. 네번째는 어플리케이션 런쳐 입니다.
App Launcher (다운)
설치를 하게 되면, 기본 바로 가기 아이콘이 등록 되어 있습니다. 내컴퓨터, 제어판, 익스플로러, 휴지통 이렇게 4개가 있군요.
일단 설정을 먼저 살펴 보겠습니다. 설정창은 총 5개의 섹션(Add/Remove, Layout, Links, Misc, Info)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첫번째, Add/Remove에서는 말그대로 아이콘을 추가 삭제 할 수 있습니다.
아이콘의 추가는 쉽습니다. 바로 아이콘을 잡아 끌어 올려 놓으면 끝~!
그리고 아이콘의 순서는 좌측의 위 아래 화살표를 사용하여 옮길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 아래의 Drag버튼을 누르면, 옮겨놓은 아이콘들을 잡아끌어 간단히 순서를 변경 할 수 있습니다. Add Divider는 아이콘이 여러개가 될 경우, 가젯에서 구분선을 삽입하는 것입니다.
일단 몇개의 아이콘(윈도우 탐색기, 알약)을 넣고, 구분선도 넣어 보았습니다.

두번째, Layout은 말그대로 가젯의 모양을 바꿀 수 있는 옵션을 모아 놓은 것 입니다. 한 줄에 아이콘을 몇개 넣을 것인지(Icons per row), 아이콘을 어떻게 정렬시킬지(Position the icons)를 일단 선택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콘에 설명풍선이 표시되게 할 것인지(Show info below the icons), 가젯의 코너를 부드럽게 할 것인지(Launcher corners)를 수정 할 수 있습니다. var servicePath="http://sixram.tistory.com"; var blogURL="http://sixram.tistory.com/";function TTGallery(containerId) { this.containerId = containerId; this.container = document.getElementById(this.containerId); this.container.style.filter = "progid:DXImageTransform.Microsoft.Fade(duration=0.3, overlap=1.0)"; this.container.style.textAlign = "center"; this.container.style.width = "100%"; this.container.instance = this; this.numImages = 0; this.imageLoaded = 0; this.offset = 0; this.src = new Array(); this.caption = new Array(); this.width = new Array(); this.height = new Array(); this.imageCache = new Array(); this.container = null; }; TTGallery.prototype.appendImage = function(src, caption, width, height) { this.numImages++; var imageCache = new Image(); imageCache.src = src; // imageCache.onload = function() { var tmp = this.src; }; this.imageCache[this.imageCache.length] = src; this.src[this.src.length] = src; this.width[this.width.length] = width; this.height[this.height.length] = height; this.caption[this.caption.length] = caption; }; TTGallery.prototype.getControl = function() { var control = document.createElement("div"); control.style.marginBottom = "10px"; control.className = "galleryControl"; control.style.color = "#777"; control.style.font = "bold 0.9em Verdana, Sans-serif"; control.innerHTML = '(' + (this.offset + 1) + '/' + this.numImages + ') '; return control; }; TTGallery.prototype.getImage = function() { var image = document.createElement("img"); image.instance = this; image.src = this.src[this.offset]; image.width = this.width[this.offset]; image.height = this.height[this.offset]; image. = this.showImagePopup2; image.style.cursor = "pointer"; return image; }; TTGallery.prototype.getCaption = function() { var captionText = this.caption[this.offset]; captionText = captionText.replace(new RegExp("&?", "gi"), "&"); captionText = captionText.replace(new RegExp("?", "gi"), ">"); captionText = captionText.replace(new RegExp(""?", "gi"), """); captionText = captionText.replace(new RegExp("'?", "gi"), "'"); var caption = document.createElement("div"); caption.style.textAlign = "center"; caption.style.marginTop = "8px"; caption.style.color = "#627e89"; caption.className = "galleryCaption"; caption.appendChild(document.createTextNode(captionText)); return caption; }; TTGallery.prototype.show = function(offset) { this.container = document.getElementById(this.containerId); if(this.numImages == 0) { var div = document.createElement("div"); div.style.textAlign = "center"; div.style.color = "#888"; div.style.margin = "10px auto"; div.style.font = "bold 2em/1 Verdana, Sans-serif"; div.innerHTML = ' '; this.container.appendChild(div); this.container = null; return; } if(typeof offset == "undefined") this.offset = 0; else { if(offset < 0) this.offset = this.numImages -1; else if(offset >= this.numImages) this.offset = 0; else this.offset = offset; } if(this.container.filters) this.container.filters[0].Apply(); this.container.innerHTML = ""; this.container.appendChild(this.getControl()); this.container.appendChild(this.getImage()); this.container.appendChild(this.getCaption()); if(this.container.filters) this.container.filters[0].Play(); this.container = null; }; TTGallery.prototype.prev = function() { this.show(this.offset-1); }; TTGallery.prototype.next = function() { this.show(this.offset+1); }; TTGallery.prototype.showImagePopup1 = function() { this.showImagePopup(); }; TTGallery.prototype.showImagePopup2 = function() { this.instance.showImagePopup(); }; TTGallery.prototype.showImagePopup = function(offset) { try { open_img(this.src[this.offset]); } catch(e) { window.open(this.src[this.offset]); } };
//
그리고 및에는 가젯의 배경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는데요, 기존에 있는 것이 맘에 안드시는 분들은 자신이 JPG파일 포맷으로 만들어서 추가 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글자색을 설정 할 수 있습니다.
세번째 Links에서는 가젯위에 놓을 바로가기 아이콘 이외에 자신의 컴퓨터에 있는 기본 링크(내컴퓨터, 네트워크, 제어판, 익스플로러 휴지통, 즐겨찾기....)를 바로 추가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웹브라우저(Web Browser)로 파이어폭스(FireFox)를 사용하기 때문에, 파폭의 북마크를 체크해 보았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원하는 링크를 추가한 뒤, 맨 아래 있는 "Add Links"버튼을 꼭 클릭해야, 적용이 됩니다.^^
4번째의 MISC에서는 기타 표시형식과 같은 설정을 바꿀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두가지만 설명해 보면, Drag/drop items....에서는 드래그 드롭했을 때, 복사를 할 것인지, 옮기기를 할 것인지를 설정 할 수 있고, 및의 Method for....에서는, 폴더 아이콘을 클릭했을때, 확장화면(Flyout)으로 표시할 지 아니면, 윈도우 탐색기를 띄울 것인지를 고를 수 있습니다.
//
그럼 설정을 마치고 한번 가젯을 보겠습니다. 아까 아이콘들 이외에 rr이란 폴더의 바로가기를 추가해 보았습니다. 아이콘을 클릭하면, 플라이아웃으로 폴더내의 파일들이 표시됩니다.
좀 복잡한 폴더를 추가해 보았습니다. 폴더내의 폴더들이 표시되며, 폴더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몇가지 기능(복사, 이동...)을 바로 수행 할 수 있습니다.
위 상태는 입맛대로 수정을 마친 가젯입니다.
가끔 유일하게 하는 게임인 PES2008과 SKYHDTV 도 있네요.
이 가젯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한다면, 유용한 사용이 가능하다고 생각됩니다.
예를 들어 와이드 노트북과 같이 세로길이가 아쉬운 사정에서, 하단의 작업표시줄을 자동숨김으로 해놓고, 가젯으로 바로가기 아이콘을 콘트롤 하면 좋을 듯 합니다.
5. 마지막은 SBS고릴라디오 가젯입니다
파워,러브FM을 즐겨들으시는 분들은 유용하게 쓰실수 있어요
MBC mini 인터넷 라디오(DMB, FM4U, 표준FM)도 사용하실분들은 아래에서..
출처 : Hobby lounge
제가 몇가지 추가 수정해서 작성했습니다
에 들어가시면 수천가지의 가젯이 있으니 입맛대로 골라 설치해 쓰시면 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필터기준 : 한국어로 되어있는데 모든언어로 바꾸시면 많이 나옵니다
궁금한점 있으시면 댓글달아 주세요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