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4월 7일 화요일

[Linux를 사용해 보자 #3] MySQL, Apache 설치하기

다음의 S/W를 리눅스 계정으로 다운로드 받는다.

MySQL 5.1.22.rc
Apache 2.2.0
PHP 5.2.4
MebDB


* MySQL 을 다운받는 방법

명령어 :
wget
http://www.lovecoco.net/dataout/userdata/mysql-5.1.22-rc.tar

사용자 삽입 이미지

* Apache 를 다운받는 방법

명령어 :
wget
http://www.lovecoco.net/dataout/userdata/http-2.2.0.tar

사용자 삽입 이미지


* PHP 를 다운받는 방법

명령어 :
wget
http://www.lovecoco.net/dataout/userdata/php-5.2.4.tar

사용자 삽입 이미지


* WebDB 를 다운받는 방법

명령어 :
wget
http://www.lovecoco.net/dataout/userdata/webdb.tar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운받고 tar로 압축된 파일을 풀어줍니다.

tar -xvf mysql-5.1.22-rc.tar
tar -xvf http-2.2.0.tar
tar -xvf php-5.2.4.tar
tar -xvf webdb.tar

압축을 풀면 다음과 같이 tar파일과 디렉토리가 같이 보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MySQL 설치하기

MySQL 설치 파일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한후, 다음의 명령어를 이용하여 설치를 위한 준비를 한다.

./configure --prefix=/usr/local/mysql --with-charset=euckr --with-unix-socket-path=/usr/local/mysql/mysql.socket --with-mysqld-user=mysql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정 완료 후 컴파일 명령어 실행

make all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음의 화면이 나오면.. 컴파일이 완료된것이다. 그리고 컴파일 된 파일을 실제 설치할 장소 (/usr/local/mysql)로 이동하는 명령어를 입력한다.

make install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까지 완료했다면, 이제 설치는 완료된 것이며,

이제~ MySQL을 실행해야 하는데, 설정시 MySQL은 mysql 유져(--with-mysqld-user=mysql)로 실행하로도록 설정하였기 때문에 mysql 유져가 없다면 다음의 명령어로 유져를 추가해야 한다.

adduser mysql


실행은 설치된 디렉토리 (/usr/local/mysql/)로 이동후, 실행파일이 있는 bin 디렉토리로 이동 한다.

MySQL을 실행하기에 앞서..가장 먼저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파일을 처음 만들어야 하며, 다음의 명령어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mysql_install_db

이후, MySQL의 데이터가 만들어진 데이터 디렉토리는 현제 root의 권한으로 설정되어 있다.
mysql_install_db를 실행할 때, root의 권한으로 실행했기 때문이다. (정확하게는 mysql 계정으로 실행해야 한다.)
따라서 MySQL의 데이터가 위치한 디렉토리 (/var/lib/mysql)의 권한을 mysql 사용자로 다음의 명령어를 이용하여 변경해야 한다.

chown -R mysql:mysql /var/lib/mysql

다음으로 MySQL이 실행되면 실행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이 저장될 디렉토리 (/var/run/mysqld)를 만들고 권한을 mysql로 변경해야 한다.

mkdir /var/run/mysqld
chown -R mysql:mysql /var/run/mysqld

다음으로 MySQL 서버와 프로그램을 연결해줄 소켓을 링크파일로 생성하야 한다.

ln -s /var/lib/mysql/mysql.sock /usr/local/mysql/mysql.socket

이제 MySQL 서버를 실행해야 하며, 다음의 명령어로 실행한다.
/usr/local/mysql/bin/mysqld_safe --user=mysql --language=korean --old-passwords &

이후, MySQL의 root 계정의 암호를 초기화 해야 하며, 다음의 명령어로 초기화 한다.
/usr/local/mysql/bin/mysqladmin -u root password '암호'
/usr/local/mysql/bin/mysqladmin -u root -p -h localhost.localdomain passowrd '암호'

마지막 명령어는 "Enter Passowrd:" 나오며 암호를 입력 요청을 하는데, 이때, 좀전에 설정한 암호를 입력하면 된다.
위의 '암호'에 설정하고자 하는 암호를 입력하면 되며, 암호를 잊을 경우 MySQL의 정상적인 운영이 불가능하므로 꼭 기억을 하도록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상적인 접속이 되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은

/usr/local/mysql/bin/mysql -u root -p

라고 입력하면 다음의 화면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지막으로 부팅시 자동실행을 하도록 만드는 방법은 "/etc/rc.local"파일 재일 마지막 부분에 "/usr/local/mysql/bin/mysqld_safe --user=mysql --language=korean --old-passwords & "을 추가하도록 한다. [이미지는 조금 다름]

vi /etc/rc.local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것으로 MySQL은 모두 설치가 완료 되었다.


* Apache 설치 방법

Apache(HTTPD) 설치 파일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한후, 다음의 명령어를 이용하여 설치를 위한 준비를 한다.

./configure --prefix=/usr/local/apache --enable-mods-shared=most --enable-modules=so --with-mpm=worker --enable-rewrite --enable-ssl --with-ssl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정 완료 후 컴파일 명령어 실행

make all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음의 화면이 나오면.. 컴파일이 완료된것이다. 그리고 컴파일 된 파일을 실제 설치할 장소 (/usr/local/apache)로 이동하는 명령어를 입력한다.

make install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까지 완료했다면, 이제 설치는 완료된 것이며, Apache의 설치디렉토리 (/usr/local/apache)의 bin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apachectl 명령어를 이용하여 apache 를 실행한다.

/usr/local/apache/bin/apachectl start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리눅스의 IP로.. 웹페이지가 뜨는지 확인하면 된다.

이제 마지막으로 부팅시 자동실행을 위하여 "/etc/rc.local"파일 제일 마지막 부분에 "/usr/local/apache/bin/apachectl start" 항목을 추가하면 된다.

vi /etc/rc.local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